사회복지 현장실습 후기
이미 저는 실습을 마치고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 발급까지
완료한 상태로 홀가분하고 뿌듯합니다.
지금쯤 다들 실습처 찾고 계실 텐데
사회복지 현장실습이 막막하신 분들을 위해서
글을 남겨볼게요.
일단 저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3학년으로 편입해서
4학년 2학기 현장 실습을 수강 및 진행했습니다.
실습처 알아보는 것이 가장 어려운 난관인데요.
저의 경우에는 주말에만 실습이 가능했기 때문에 더욱더 실습처가 한정적이라
걱정을 많이 했어요.
+ 파워 I 인간이라 전화하는 것도 너무 떨렸답니다.
하지만 일단 해보는 거죠.
♣ 사회복지 현장실습 실습처 알아보기 ♣
1. 사회복지현장실습 실습생 모집 게시판 (회원가입 불필요)
사회복지현장실습 실습생 모집 게시판 : 네이버 카페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운영하는 실습생 모집 게시판입니다. 문의사항은 02-786-0845로 연락주세요.
cafe.naver.com
☞ 다양한 정보가 많이 올라오지만 한정적이기 때문에
2. 한국 사회복지사 협회 접속
현장실습기관 찾기 - 실습기관선정현황
엑셀 파일 다운 후 전화 돌리기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현장실습센터
www.welfare.net
※ 주말 실습을 알아봤기 때문에 선택지가 다양하진 않았어요.
▶ 주로 요양원에서 가능
일단 사회복지사협회에서 제공하는 실습처 리스트를 다운로드하여 정리하고
전화를 돌리기 시작했다. 청소년 쉼터, 장애인 시설, 양로원, 요양원 등등
"안녕하세요? 사회복지 주말실습 운영하시나요?"
- 아니오
하면 인사하고 끊으면 되니까 겁먹지 마세요.
아무튼 우여곡절 끝에 매우 친절하신 사회복지사님과 통화가 되어
주말 실습을 진행하기로 하고 실습비 20만 원을 냅다 송금했습니다.
* 2023년 6월 말 ~ 8월 말 까지 10주 간 매주 토요일, 일요일
일 8시간, 총 160시간
실습처마다 실습 내용 및 준비물은 다르겠지만,
우선 저는
실습처 - 요양원
준비물 - 개인노트북, 텀블러
주요 실습 내용 - 서류 작업
(서류를 적절하게 잘 작성하는 것이 사회복지사의 중요 업무라고 하셨습니다.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서식들을 직접 작성해 보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졌어요.)
부 실습 내용 - 교구 만들기, 프로그램 도움
(프로그램에 사용될 교구를 제작한다던가, 프로그램 진행 시 옆에서 약간의 도움을 드리는 것 등)
저의 경우는 주말에 못 쉬어서 그렇지 몸은 편하게 실습 진행을 한 것 같아요.
서류 작성등의 작업이나 약간의 프로그램 도움등은 체력적으로 힘든 일은 아니었어요.
하지만, 저와 함께 실습하신 연세가 있으신 선생님들은 서류 작업 보다
요양원 내에서 어르신들과 프로그램 진행하는 걸
더 선호하셨어요.
실습 중 가장 힘들었던 점 - 요양원이라 기저귀 사용을 하시는데 쓰레기 정리 하실 때 냄새가 가장 힘들었습니다.
처음으로 만든 간단한 교구
같은 그림은 어디에?
같은 그림을 두 개씩 배치하고, 위에 뚜껑을 덮어 열고 기억하며
같은 그림을 찾아내는 게임입니다.
실습 일정에 있던 프로그램 교구 만들기
화투를 이용한 퍼즐
팀 작업으로 하루 종일 걸렸답니다.
마침 같이 실습하시는 선생님 중에 어린이집 교사분이 계셔서,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프로그램 도움 참여.
다트 던지기 프로그램 & 햄버거 쌓기 프로그램
* 요양원의 교구나 프로그램을 보면 아이들 놀이와 비슷한 점이 많다는 걸 느끼게 돼요.
치매가 걸리면 다시 아이가 되는 걸까요?
저는 같은 주제에 대한 다른 생각을 접할 수 있는 토론시간이 특히 좋았는데요.
실습 내용 중에 영화 "그대를 사랑합니다"를 감상하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던 적이 있어요.
이 영화는 겉으로는 노인의 삶과 사랑에 대한 이야기지만 영화 내에서 다양한 노인 문제에 대한 사례를
확인할 수 있어요. 노인빈곤, 치매노인의 수발, 노인 자살 등의 사회적 문제가 드러납니다.
내용 중에 치매에 걸린 아내를 돌보던 남편이 자녀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려고
동반 자살을 하는 장면이 있습니다.
이 부분에서 어떤 선생님께서
결국 아내를 죽인 것이니 범죄를 저지른 것이다.
라는 의견을 제시하셨을 때 아차 싶었던 기억이 납니다.
저에게 노인은 언제든 죽을 수 있는 사람이라는 편견이 있었다는 것을 알았거든요.
우리 모두는 노인이 될 텐데 아직 고령사회를 맞이하기에는 우리 모두의 준비가 매우 부족한 것 같습니다.
** 심각한 이야기는 이제 뒤로 하고 실습일지 작성하는 팁을 전달드릴게요.
실습일지 라고 해서 거창하게 쓸 필요는 없었어요.
그날그날 실습한 내용과 의견을 솔직하게 적어내면 되는데,
방송대에서는 실습일지 양식을 제공해 주셔서 그에 맞는 내용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실습일지도 작성하다 보면 실력이 좀 늘어나는 것 같아요.
제가 첫 날 작성한 실습일지와 후반에 작성한 일지를 조금 보여드릴게요.
실습 첫 날 작성한 실습일지
정말 간결하죠
후반으로 갈수록 점점 느낀 점이 많아지고 있어요.
잘 쓴 일지는 아니지만 제 생각을 담은 일지예요.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광역시 청년 복지 - 드림나래 (면접정장대여 서비스) (0) | 2024.08.08 |
---|---|
인천광역시 청년 복지 - 청년월세 지원사업 (3) | 2024.07.23 |
인천 서구 청년 지원 - 중소기업 재직청년 복지공유제 (국내 숙박비 지원) (0) | 2024.07.02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사회복지 현장실습 세미나 후기 (0) | 2024.06.13 |
인천 시민이라면 ? 인천광역시 복지 혜택 안내 (0) | 2024.06.12 |